학회_공부해요/디지털포렌식

[디지털포렌식_기초]6주차 윈도우 포렌식

yenas0 2023. 5. 15. 11:34
반응형

01. $MFT

 

$~~: 시스템 파일
 
MFT(Master File Table)
NTFS 파일시스템(Windows가 쓰는 파일시스템)에서 파일, 디렉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
하나의 파일 당 하나의 MFT 엔트리를 가짐
$MFT란 MFT 엔트리들의 집합
 
MFT 엔트리
파일의 이름, 생성.수정.변경시간, 크기, 속성 등을 가지고 있음
파일의 디스크 내부 위치, 파일의 시스템 경로를 알 수 있음  
 
$MFT Practice
FTK Imager 이용
 ㄴ> [root] \$MFT 추출
MFT Explorer 다운로드
http://ericzimmerman.github.io/#!index.md

 

Eric Zimmerman's tools

 

ericzimmerman.github.io

 
 
 

FTK Imager에서 Logical Drive를 선택한 후
 

   root 에 있는 $MFT파일을 추출해준다.
 
이를 MFT Explorer로 열면 여러가지 폴더를 볼 수 있다.
 
 

02. $LogFile, $UsnJrnl

 
$LogFile
 
저널링(Jounaling)
데이터 변경을 디스크에 반영하기 전에 행위를 기록하여 추후 오류 복구에 활용
 ㄴ>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가 손실됨
 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어떤 데이터를, 언제, 어디에 쓰는지' 기록
 ㄴ> 문제가 발생하면 기록을 토대로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로 시스템을 복원
 
트랜잭션(Transaction)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
파일이나 디렉토리 생성, 수정, 삭제, MFT 레코드 변경 등
$LogFile: 메타데이터의 트랜잭션 저널 정보
 
$UsnJrnl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변경 사항이 생길 때 이를 기록하는 로그 파일
파일 복원의 목적이 아니라, 단순 파일 작업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하
시간 순서대로 엔트리를 저장하고, 기본 크기는 32MB
 ㄴ> 꽉 찰 시 가장 오래된 데이터부터 새로운 데이터로 덮어씌운다.
 


$LogFile & $UsnJrnl Practice
 
https://sites.google.com/site/forensicnote/ntfs-log-tracker

 

blueangel's ForensicNote - NTFS Log Tracker

NTFS Log Tracker v1.71

sites.google.com

 
FTK Imager에 들어가서 $Logfile과 $J를 추출한다

NTFS Log Tracker 을 통해 db파일을 만들어 준다

 
https://sqlitebrowser.org/

 

DB Browser for SQLite

DB Browser for SQLite The Official home of the DB Browser for SQLite Screenshot What it is DB Browser for SQLite (DB4S) is a high quality, visual, open source tool to create, design, and edit database files compatible with SQLite. DB4S is for users and dev

sqlitebrowser.org

위의 db파일을 열기 위한 도구를 다운로드 받아 파일을 볼 수 있다.
 
파일에 있는 정보의 양이 워낙 많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다 보기는 어렵다. 다른 곳에서 증거를 먼저 찾은 후 어떤걸 찾을지 생각하여(수상하다고 생각한 부분) 조사하도록 하는것이 좋다.
 


 01. 바로가기 (LNK)

 
'Windows Shortcut' 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림
.lnk 확장자를 가진다.
 
생성하는 방법
- 사용자가 직접 생성
- 프로그램 설치 시에 생성
-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생성  
 
예시로 카카오톡의 바로가기 속성을 확인하여 보면

lnk를 확장자로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가기(LNK)가 저장되는 위치
 
바탕화면
%UserProfile%\Desktop
 
시작메뉴
%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

 
 
최근 실행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빠른 실행
%Program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User Pinned\TaskBar
 


바로가기(LNK) Practice
 

FTK Imager를 사용해 바탕화면에있는 바로가기 중 하나를 추출해 준다.
 
위의 Zimmerman tool에서 LECmd를 다운받아 이를 사용하여 환경변수 등 LNK 정보에 대한 것을 알아 낼 수 있다.
 
 

02. Jumplist

 
점프리스트란?
최근에 사용한 파일/ 폴더에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구조      

종류
Automatic: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남기는항목
Custom: 응용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항목
 
경로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AutomaticDestinations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CustiomDestinations 
 


Jumplist Practice
마찬가지로 FTK Imager에서 위의 경로에 있는 파일을 추출한다.
Zimmerman tool에서 JumpList Explorer를 다운받아 실행한다.

  
이런식으로 jumplist를 확인할수 있다.
 



01. Prefetch

: 응용프로그램의 빠른 실행을 위해서 존재하는 파일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생성
 ㄴ>실행파일 이름, 경로
 ㄴ>실행 파일의 실행횟수
 ㄴ> 실행 파일의 마지막 실행 시간
 ㄴ> 실행 파일의 최초 실행 시간   
 
경로
%SystemRoot%\Prefetch
 


Prefetch Practice
 
https://www.nirsoft.net/utils/win_prefetch_view.html

 

View the content of Windows Prefetch (.pf) files

    WinPrefetchView v1.37 Copyright (c) 2010 - 2021 Nir Sofer Description Each time that you run an application in your system, a Prefetch file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files loaded by the application is created by Windows operating system. T

www.nirsoft.net

위 사이트에서 툴을 다운받는다.
 

 
위 도구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파일들을 추출하여 준다. 확인해보면 실행횟수, 실행 시간등을 확인 해 볼 수 있다.
 
삭제된 여부 상관없이 확인이 가능하다.


  마치며

윈도우 사용하면서 방문했던 사이트나 사용했던 응용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전부 볼 수 있다는게 신기했다. 지워진 파일까지도 볼수 있다하니 앞으로 인터넷 이용에 더 주의해야될 것같음..👍

https://www.inflearn.com/course/%EA%B8%B0%EC%B4%88-%EB%94%94%EC%A7%80%ED%84%B8-%ED%8F%AC%EB%A0%8C%EC%8B%9D

 

[무료] 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 인프런 | 강의

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강의입니다. 강의를 따라하다보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실력이 늘어가는 강의를 추구합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섹션 3. $MFT 개념 및 실습 ~ Prefetch 개념 및 실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