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암호화폐는 야프섬의 돌 코인 사례로 설명해볼 수 있다.
과거 야프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돌을 화폐로 사용하였다. 야프섬 사람들은 돌을 450km 떨어진 섬에서 채굴하였다. 돌이 크면 클 수록 돌은 조각하고 운반하는 데에 들이는 어려움이 커지므로 코인의 가치 역시 올라간다.
암호화폐, 즉 코인은 채굴난이도에게서 가치평가를 받는다.
거래방법
야프인들은 오늘날 분산원장 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사용하여 거래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이라는 장소에 코인을 두면 마을 사람들 모두는 @@에 있는 코인은 A거 라고 생각한다. 만약 B와 거래할 때 A가 해당 코인을 지불하려고 한다면 @@에 있는 코인은 B거 라고 말하면 된다.
위 방법은 중앙집권적 인물이 없으므로 사기의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
만약 C가 @@코인이 본인거라고 우겨도 마을사람들 모두가 증인이 되어 @@코인이 C의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위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작동 방식과 유사하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은 마을 사람들을 신뢰한다는 가정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암호화폐에서는 트랜잭션 정보를 기밀로 하지 않으며 실체가 없이도 거래가 가능하다.
주요 암호화폐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제트캐시, 대시, 리플, 모네로
제트캐시: 발신자와 수신자의 세부 정보가 숨겨지는 보호된 트랜잭션
대시: 비트코인보다 강력한 익명성 제공
SSL(Secure Sockets Layer): 보안 소켓 계층,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규약 프로토콜
블록체인
트랜잭션의 목록, 네트워크상의 여러 노드에 분산, 블록들의 클러스터로 그룹화
- 암호화폐에서는 트랜잭션 정보를 기밀로 하지 않는다
- 암호화폐는 실체 없이 거래가 가능하다
- 코인은 채굴 난이도에 영향을 받는다.
반응형
'학회_공부해요 > 디지털포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수사] 03. 블록체인 이해하기 (0) | 2024.04.02 |
---|---|
[암호화폐 수사] 02. 하드 비트 (0) | 2024.03.26 |
[디지털포렌식_기초]7주차 윈도우 포렌식 (0) | 2023.05.23 |
[디지털포렌식_기초]6주차 윈도우 포렌식 (0) | 2023.05.15 |
[디지털포렌식_기초]5주차 윈도우 포렌식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