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서버 운영
NIC
- OSI 7계층에서 물리계층에 존재(link layer-physical layer 통신). 컴퓨터 main board에 장착됨
- LAN 케이블(UTP)과 연결되어 네트워크와 컴퓨터 간 통신 수행
- LAN, Token Ring 등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 통신을 위해 interface 역할 수행
- MAC 주소 할당 (link layer에서 수행, 상위24 비트는 제조사 번호로 지정)
- 이더넷은 IEEE 802.3 표준
- 고성능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압축
NIC 카드 종류
이더넷(Ethernet) | IEEE 802.3 표준 지원, 10Mbps의 속도 지원 |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 이더넷에 비해 10배 성능 향상 10Mbps 성능으로 고속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가능 이더넷도 지원하여 호환성 굿 |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고속의 성능 지원 1Gbps의 성능 지원 |
Token Ring | Main Frame시스템에 설치되어 16Mbps 정도의 성능 지원 가격 비쌈 |
ATM LAN | 고속의 ATM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 |
인터페이스 방식
ISA | 전송속도는 16비트에서 3Mbp의 성능 지원 고속 환경에서는 별로 |
PCI | 메인보드와 주변 장치 간에 인터페이스 하는 버스 ISA 방식보다 고속으로 32비트, 64비트 지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른 주변장치 연결되어도 버스 마스터링 기능 처리 팬티엄 PC에 장착됨 |
VLAN
- 하나의 물리적 switch를 여러 개의 논리적 환경으로 구성해서 각각 다른 설정과 관리를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 네트워크 성능 향상 위해 불필요한 broadcast 방지하는 기술
- 데이터 처리 흐름을 관리하여 네트워크 보안성 향상함
종류
static VLAN | 포트 별로 VLAN을 구성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포트 별로 VLAN을 관리 및 모니터링 |
Dynamic VLAN | MAC 주소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대형 switch에서 사용 |
VTP(VLAN Trucking Protocol)
- 복수 개의 스위치 간에 VLAN 설정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로 VTP를 사용하면 VLAN 설정의 편의성 향상됨.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저용량, 저성능, 저가용성인 디스크를 배열의 구조로 중복 구성함으로써 고용량, 고성능, 소가용성 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음
- 데이터 분산 저장에 의한 동시 액세스 가능, 병렬 데이터 채널에 의한 데이터 전송 시간 단축
네트워크 회선 운영
Repeater
- 물리계층에서 동작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감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 신호 증폭
- 디지털 신호에 대해 신호 증폭및 재생
- 무제한으로 신호 연장은 안됨
- 장거리 전송을 가능하게 해서 네트워크 규모 확장.
허브(Hub)
- 여러 개의 시스템을 연결할 경우 각 포트 별로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리 계층의 장치
- 네트워크상태 모니터링 가능
- 리피터 기능 장착 중
브리지(Bridge)
-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연결장치로 송신및 수산되는 통신량을 관리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되며 송신 및 수신 되는 프레임 검사
- 네트워크 범위 확장할 때 사용
- 병목현상 감소
- MAC 주소로 관리
- 서로 다른 물리적 네트워크연결 가능
- Forwarding 기능 수행
스위치(Swtich)
- 허브랑 유사하나 전송 속도 향상
- 목적지 포트로 직접전송해 네트워크 효율 향상
- 노드 수 증가해도 네트워크 속도 저하는 없음
- 포트별로 속도 일정해 전송 패킷 감청 어려움
- 충돌 발생이 없음
라우터(Router)
- 인터 네트워킹 장비,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읽어 경로를 결정하는 장비
- LAN과LAN 연결 후 TCP/IP 프로토콜 지원
- 패킷에서 IP 주소 읽어서 경로 결정
- 패킷 필터링 가능
- 포워딩 수행
게이트웨이(Gateway)
- 다른 네트워크 상호연결위해 사용
- 프로토콜 달라도 통신 가능
- 메시지 변환, 프로토콜 변환, 주소 변환, 방화벽, 프록시 서버 기능을 함
'학회_공부해요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NOS(Network Operating System)_2 (0) | 2024.05.14 |
---|---|
#3. NOS(Network Operating System) (0) | 2024.05.07 |
#02. TCP/IP (0) | 2024.04.02 |
#01. 네트워크 일반 (0) | 2024.03.26 |
#00. 네트워크 기본 개념 정리 (1)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