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_공부해요/네트워크

#01. 네트워크 일반

yenas0 2024. 3. 26. 19:59
반응형

네트워크 개요

- 네트워크는 송신자의 메시지를 수진자에게 전달하는 과정
- 한 지점에서 원하는 다른 지점까지 의미 있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상대바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것
-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구분 가능



거리 기반 네트워크의 종류

PAN(Personal Area Network) - 약 5미터 이내의 인접지역 간의 통신방법
- 초 인접지역 간의 통신 방법으로 거리가 짧은 특성을 가짐
- 짧은 거리로 인하여 무선의 WPAN이 많이 활용됨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영역의 네트워크로서 동일한 지역(공장, 사무실 등)내의 고속의 전용회선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통신망
- 단일 기관 소유의 네트워크로 50미터 버위 이내 한정된 지역
- Client/Server와 peer-to-peer 모델
- WAN보다 빠른 통신 속도
WAN(Wide Area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망으로 서로 관련이 있는 LAN 사이를 연결하는 상호 연결망
- LAN에 비해 선로 에러율 높고 전송 지연 큼
- WAN의 설계 시 전송 효율과 특성 고려
- 두 목적지 간을 최단 경로로 연결시켜주는 라우팅 알고리즘이 중요
- 제한된 트래픽 조건 하에서 흐름 제어와 과도한 지연을 제거

 

 

데이터 전송 방식

단방향 통신 데이터를 전송만 할 수 있고 받을 수는 없음
반이중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는 있지만, 동시에 할 수는 없음
전이중 통신 전이중 방식의 대표적인 예시는 전화기.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단말장치를 어떤 형태로 연결할 것인가에 대함.

계층형 토폴로지 트리 구조 형태로 정보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보 단말 장치를 추가하기 용이한 구성
버스형 토폴로지 중앙의 통신 회선 하나에 여러 개의 정보 단말 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통신망 구성 방식. 버스의 끝에 터미네이터를 달아 신호의 반사를 방지함.
성형 토폴로지 중앙에 있는 정보 단말 장치에 모두 연결된 구조로 항상 중앙의 정보 단말 장치를 통해서만 연결이 가능한 구조
성형은 중앙의 정보 단말 장치에 에러가 발생 시 모든 통신이 불가함.
별모양~
링형 토폴로지 인접해 있는 정보 단말 장치가 연결된 구조, 링형은 토큰링에서 사용한다.
망형 토폴로지 모든 정보 단말 장치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연결된 구조로 한쪽 통신회선에 에러가 발생해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 구축 시에 비용이 많이 든다.





회선 교환

- 회선 교환은 Point to Point방식으로 연결을 확립하고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법
- 교환기를 통해 통신 회신을 설정하여 직접 데이터를 교환하며 송신자의 메시지는 같은 경로로 전송됨.
- 실시간으로 처리와 안정적 통신이 가능

 

패킷 교환

송신 측에서 모든 메시지를 일정한 패키으로 분해해서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이를 원래의 메시지로 조립하는 것
인터넷 사용시 통신을 위해 식별자가 필요함 (IP 주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IP주소 붙은 패킷을 데이터그램이라 함.



데이터 통신

직렬 전송 - 하나의 전송로를 사용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방식.
- 직렬 전송은 회선이 적고 전송 비용이 적은 장점
병렬 전송 - 여러 개의 전송로로 데이터를 통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회선이 많이 필요하고 전송 비용이 비교적 많이 발생.
- 전송 속도가 빠름

 

동기식과 비동기식

비동기식 전송 - 한 문자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전송할 때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사용해서 데이터 전송.
- 전송하는 문자들 사이에는 유휴 시간 존재
동기식 전송 - 문자를 블록 단위로 빠르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
- 문자 동기방식과 비트 동기방식으로 구분



회선

교환 회선 - 정보 전송 시에 교환기를 사용해서 송수신
- 회선 교환 및 축적 교환으로 나누어짐
- 데이터 양이 적으며 사용자가 많을 때 사용하는 방식
전용 회선 - 교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점 대 점으로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
- 사용자는 적지만 전송 할 데이터가 많을 때 사용하는 방식



회신 제어 단계

- 회선 연결
- 링크 확립
- 메시지 전송
- 링크 단절
- 회선 절단


전송 매체

유선 선로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 두개의 구리 선이 서로 감싸 있는 것으로 전화선으로 많이 사용되는 케이블
동축 케이블 -중앙의 구리선에 플라스틱 절연체러 감싸서 만든 것
- 보통 가정에서 TV를 수신할 때 많이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광섬유 케이블 - 빛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
- 신뢰성이 높고 온도 벼화에도 안정적이며 에러율이 낮음



다중화

- 여러 단말장치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고 수신 측에서 단말장치의 신호를 분리하여 입출력할 수 있는 방식
- 하나의 통신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선과 모뎀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


광대역 기술

프레임 릴레이 개요
프레임 릴레이는 멀티 액세스를 위한 네트워크로 LAN과 비슷하게 두 개 이상의 장비를 네트워크에 동시 연결하여 X.25의 패킷 전송 기술을 고속 데이터통신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프로토콜

반응형

'학회_공부해요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네트워크 운용기기  (0) 2024.05.22
#4. NOS(Network Operating System)_2  (0) 2024.05.14
#3. NOS(Network Operating System)  (0) 2024.05.07
#02. TCP/IP  (0) 2024.04.02
#00. 네트워크 기본 개념 정리  (1)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