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바일 포렌식
- 모바일 기기를 조사하는 디지털 포렌식
-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기록, 문자 메시지, 위치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기록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
-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면서 생성된 데이터가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됨
- 프라이버시 관련 데이터가 많이 존재
- 사용자 행위 분석에 용이
-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해결해야 할 이슈가 있음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암호화
- 안티포렌식 기법(공장 초기화, 와이핑, 안전학 삭제 등)
- 기종별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위치와 종류가 다름
- 모델별로 저장되는 데이터와 저장위치를 식별해야 함
- 데이터 동기화, "기기" 중심 -> "계정" 중심 서비스 제공
- 클라우드 저장소, 메신저
모바일 데이터는 시스템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구분이 가능함
시스템 정보 | 기기모델 및 버전 정보 네트워크 연결 정보 다운로드 및 설치된 앱 목록 사용자 계정 정보 |
사용자 데이터 | 연락처 통화 기록 문자메시지 기록(MMS, SMS) |
저장되는 형태
텍스트 포맷 |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 *.log, *.xml, *.cfg 등 다양한 형태의 포맷으로 데이터가 존재 기기 정보, 시스템 로그,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 |
데이터베이스 | SQLite 등의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저장된 데이터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 사용기록이 데이터베이스로 기록됨 |
멀티미디어 | 사진, 동영상, 문서 등 |
저장장치
-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플래시 메모리 사용
- 종류
- eMMC(embedded MultiMedia Card) -> 저가형 모델에 사용
- UFS(Universal Flash Storage) -> 플래그쉽 모델에 사용
- eMMS vs UFS
- UFS 2.1 기준 eMMC와 비교하여 약 2배 빠른 속도와 낮은 소비전력을 가짐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Android)
- 구글(Google)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운영체제
- 리눅스(Linux)커널에서 동작하며, C/C++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음
- 개방형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구동 가능
-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네이게이션, 스마트 TV, AI 스피커 등
- 구글(Google)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운영체제
- iOS
- 애플(Apple)에서 개발한 유닉스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
- 현재는 iPhone에만 사용
- iPad: 2019년 iPadOS로 부리
- Apple TV: 2015년 tvOS로 분리
모바일 데이터 수집 과정
통신 차단
: 모바일 기기능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증거물 훼손 및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렌식 조사를 위해 압수한 경우 통신을 차단해야 한다.
차단 방법
1. 전파 차단 장비 활용: Faraday Bag을 이용해 통신 차단
2. 비행기 모드(Airplane Mode): 데이터 수집 시 주로 사용, 통신을 차단하는 내장된 기능을 사용하는 방식
침수 대응
: 침수 시 전원 키기 x, 습기 제거, 3~5일 건조 후 전원 공급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수행
반응형
'학회_공부해요 > 모바일포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의 이해 (0) | 2024.11.05 |
---|---|
모바일 포렌식 입문 (7) | 2024.10.08 |
모바일 포렌식 분석 (2) | 2024.10.01 |
아이폰 데이터 수집 (0) | 2024.10.01 |
안드로이드 데이터 수집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