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지능형 자동화, 성공적인 CI/CD를 위한 핵심
클라우드 네이티브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현대적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배포 및 관리할 때의 소프트웨어 접근 방식
클라우드 네이티브 세계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 딜리버리 전략을 실행하려면?
=> 빠른 속도와 빈도, 정확성으로 더 많은 소프트웨어 제공하기 (sw 보안 희생 or 비즈니스 컴플라이언스 무시없이)
==> 복잡성 증가
소프트에어 딜리버리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소프트웨어 릴리즈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려면?
1. 시간경과에 따라 도구와 프로세스를 발전시킬 수 있는 내부 시스템 채택
2. 프로세스 및 도구와 관련해 개발팀에 최대한 유연성을 제공 & DevOps,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관리를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
3. 소프트웨어 딜리버리 파이프라인을 지능적으로 자동화
CD를 위한 새 패러다임
CD(Continuous Delivery):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을 반복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는 것
CI(Continuous Integration):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
새로운 CD 패러다임
: 기존 CD에서 DevOps 관리를 개선, 개발 생산성 향상, 거버넌스 및 보안을 보장하는 기반
새로운 CD 패러다임의 원칙
(1) 개방형 플랫폼(Open platforms)
개방형 플랫폼을 사용하면 기존 CI/CD 도구 및 워크플로우와 원활하게 통합 가능
(=> 기존 툴 체인 제거 or 개발 생산성 저하 감수 없이 진화 가능)
(=> 딜리버리 프로세스에서 위험 식별, 워크플로우 제어 가능)
(2) 지능형 자동화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딜리버리를 위한 핵심 요구사항 해결
기본 프로세스 자동화: DevOps 생산성 증가
작업을 자동화한 후 릴리즈가 딜리버리 수명 주기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자동화된 의사결정 지속적 개선 가능
컴플라이언스 및 보안에 중앙 집중식 자동화 제어를 구축하는 수단 제공
(3) 중앙집중식 제어 기능을 갖춘 자율팀
중앙집중식 제어를 설정하는 것은 기업 전체의 DevOps,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팀이 모든 소프트웨어 릴리즈에서 컴플라이언스, 균일성, 감사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하는데 필수적
CD의 진화
- 오픈소스 프로젝트
오픈소스 CI 및 CD 프로젝트가 계속 진화하고 있다. 중앙집중식 제어를 지원하기 위해 스피내커(Spinnaker)는 새로운 로그인 솔루션을 코딩하는 대신 최신 보안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이미 사용 중인 ID 및 액세스 관리 솔루션과 통합할 수 있다.
- 기본 프로세스 자동화
프로세스 자동화가 독점 솔루션과 오픈소스 CD 솔루션 기반의 제품을 포함한 상용 솔루션에서 일반화되고 있다.
- 기본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AI/ML이 하네스 및 OpsMX 등의 상용 솔루션 내에서 제공되고 있다.
- 지능형 자동화
지능형 자동화는 AI와 RPA 기술을 결합하여 프로세스와 의사결정을 간소화하고 확장한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디지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와 사람 사이의 상호 작용을 에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쉽게 빌드, 구현,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기술
마치며
클라우드에 대해 모르는게 많아 찾아볼만한 내용이 많았다. 찾아봐도 못알아듣는게 아주 많았지만..~~ 그래도 나중에 또 보게되면 좀 더 눈에 익게 되겠지 싶다. 그리고 클라우드 관련자료랑 본문에 나온 단어들을 검색해보는데 유독 다른 것에 비해 영어자료가 많아서 찾기가 어렵기도 하고 무슨 소리인지 제대로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영어도 더 공부해야할것같고.. 아무튼 클라우드 네이티브 세계에서의 최신 동향을 알아볼 수 있었고 CD의 새로운 기본요소가 제품에 적용되는 사례를 알아보니 많은 기업에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대단했다.